티스토리 뷰

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이를 실행시켜주는 프로그램(IDE, Library...등등)이 필요한데, 사지방 컴퓨터는 보안상으로 프로그래밍 관련 프로그램들을 일부분 금지하기 때문에 코딩을 할 수가 없다.

 

하지만 웹 IDE를 사용하면, 프로그래밍을 하면 손쉽게 개발에 뛰어 들수 있는 여건이 된다.

*IDE란 : 통합 개발 환경(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, IDE)로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작업 환경이라고 생각 하면 된다. 


그럼, 웹 IDE로 goormIDE를 사용해보자

https://ide.goorm.io/

 

구름IDE - 설치가 필요없는 통합개발환경 서비스

구름IDE는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통합개발환경(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)을 제공합니다.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코딩, 디버그, 컴파일, 배포 등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클라�

ide.goorm.io

 

1. 먼저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하자.

 

2. 대시보드 버튼을 클릭해서 대시보드로 들어가자

 

 

3. 대시보드 창에 들어 왔다.

이용중인 플랜이 FREE인데, Premium을 비롯해 돈을 지불하고 더 많은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다고 들었는데.

FREE로 써도 충분할 것 같아서 FREE로 쓰자 (5개의 작업환경을 만들수 있다)

대충 보고, 새 컨테이너 생성을 클릭하자

4. 아래의 빈칸을 작성하자

 

1) 이름 : 앞으로 작업환경으로 쓸 컨테이너의 이름을 붙여주자

ex) C언어 공부중이라면, c_study. machine learning 공부중이라면 ML_1.. 등등

 

2) 설명 <필수가 아니다> : 뭐하는 컨테이너인지 설명해주자

 

3) 지역, 공개 범위, 템플릿, 배포까지는 체크된 채로 납두자.

다만, 나중에 프로그램을 배포하고자 한다면, 두가지 배포 ( Heroku, AWS Elastic Beanstalk ) 에 대해 알아보고 체크하자

 

 4) 소프트웨어 스택 : 사용하고자 하는 개발 언어에 체크.

우리는 여기서 Jupyter notebook을 사용하고자 하므로 Jupyter에 체크하자

 

5) 추가 모듈 / 패키지 : DBMS 프로그램을 추가로 설치할지에 대해 묻는 건데, Jupyter를 쓰는 입장에서는 굳이 필요가 없어서 그냥 스킵!

5. 개발환경이 만들어졌다.

6. 우측 상단에 플레이 버튼 비슷한 걸 클릭해서 jupyter notebook을 실행시키자

7. 아래와 같이 jupyter notebook 서버가 실행된 것을 알 수 있다.

   이제 jupyter notebook을 가동 시킬 창을 열어보자. 

8. 먼저 token 정보를 확인해야 되는데.

플레이 버튼 약간 오른쪽에 내림 버튼을 클릭해서 new run jupyter notebook 을 다시 누르자.

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, 아래로 스크롤링을 쭉 해서 환경변수에 JUPYTER_TOKEN = ****  값이 나오면 

그 값이 토큰이니까 기억해두자.

8. 프로젝트 메뉴에 실행 URL과 포트를 클릭한다

9. 등록된 URL을 새창으로 생성한다. (스크린샷에 있는 마우스의 위치에서 클릭하면 된다)

10. Jupyter 초기설정창이다.

Password or token : 에 아까 기억해둔 token 을 입력해준다

* 대부분 goorm 이라고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. 

11. Jupyter 초기설정이 완료되었고, 이제 사용할 수 있다.

 

 

** Jupyter notebook을 이제 아래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.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